티스토리 뷰
대한민국에서 대통령이 탄핵된 사례는 총 2번 있습니다.
탄핵은 대통령이 헌법이나 법을 위반했을 때 국회가 직무를 정지시키고 헌법재판소가 최종 결정을 내리는 과정입니다.
지금까지 있었던 탄핵 사건을 쉽게 정리해 볼게요.

1. 노무현 대통령 탄핵 (2004년) → 기각됨
🔹 배경 :
당시 야당(한나라당 등) 이 대통령의 선거법 위반, 경제 정책 실패 등을 이유로 탄핵 소추안을 국회에서 통과시킴.
🔹 헌법재판소 결정 :
"선거법 위반은 맞지만, 대통령을 탄핵할 만큼 중대한 사안은 아니다."
- 헌재 판결 : 8 대 0 만장일치 기각
➡ 탄핵 기각 (노무현 대통령이 다시 직무 수행)
💡 결론 : 노무현 대통령은 탄핵심판을 받았지만 최종적으로 탄핵되지 않음.
2. 박근혜 대통령 탄핵 (2016~2017년) → 인용 (탄핵 확정, 대통령직 박탈)
🔹 배경 :
**"최순실 국정농단 사건"**이 터지면서 대통령이 헌법과 법을 위반했다는 논란이 커짐.
국민들이 촛불집회를 열며 탄핵을 요구했고, 결국 국회가 탄핵소추안을 가결함.
🔹 헌법재판소 결정 :
"박근혜 대통령이 최순실에게 권력을 남용하게 했고, 법을 위반한 것이 명백하다."
- 헌재 판결 : 8 대 0 만장일치 인용 (탄핵 확정)
➡ 탄핵 인용 (대통령직 박탈, 즉시 파면)
💡 결론 :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대통령이 탄핵되어 자리에서 물러남. 이후 재판을 받아 징역형을 선고받았지만, 2021년 특별사면으로 석방됨.
탄핵 사례 요약
노무현 | 2004 | 선거법 위반, 국정 운영 문제 | 기각 | 대통령직 유지 |
박근혜 | 2016~2017 | 국정농단 (권력 남용, 헌법·법률 위반) | 인용 | 대통령직 박탈 |
2. 윤석열 대통령 탄핵 (2022년~)
🔹 배경 :
2024년 12월 3일,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령(79년 이후 45년만)을 선포
12월 4일 새벽 1시 1분, 국회에서 해제 요구안(재석 190인, 찬성 190인)을 통과
12월 14일, 국회는 대통령 탄핵소추안(재적 300인, 찬성 204인)을 가결하였고, 윤 대통령은 직무가 정지
🔹 헌법재판소 결정 :
???
'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이트데이 선물 추천! 센스 터지는 아이템 BEST 5 🎁 (0) | 2025.03.12 |
---|---|
삼일절 기념 티셔츠, 애국심을 입다! (0) | 2025.02.27 |
2025년 벚꽃 개화시기와 추천 명소 (0) | 2025.02.21 |
대한민국의 자동차 검사 : 시기, 종류, 방법 (0) | 2025.02.14 |
발렌타인데이 선물 추천! 사랑을 전하는 특별한 아이템 🎁💕 (0) | 2025.02.13 |
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전통 음식 (0) | 2025.02.12 |
요양보호사 자격증과 가족요양에 대한 이해 (0) | 2025.02.06 |